오늘은 서울시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자는 취지하는 의미로 만들어지는 대중교통카드 중 2024년 1월 부터 5월까지 시범운영으로 “기후동행카드”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월 6만 5천원으로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또한, 인천광역시 및 김포시 등 경기도 지역도 추가로 기후동행카드 협약을 하였습니다.
대중교통비를 절감하며 대중교통 이용자 수를 늘리는 효과를 기대하며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혜택
기후동행카드는 스마트폰 앱 또는 실물카드(3천원)를 통해 충전 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카드를 통해 시민 50만명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 할인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릉이 포함)
카드가격 : 62,000원(따릉이 제외), 65,000원(따릉이 포함)
카드종류 : 모바일카드(안드로이드), 실물카드(IOS 기반 휴대전화, 디지털 약자)
지하철 |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가능(기본요금 상이한 신분당선 제외) |
버스 |
|
따릉이 |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 가능 |
한강리버버스 | 향후 리버버스 등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운영 계획 |
- 지하철의 경우 서울시계 내 역에서 승차 후 시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사용불가
- 따릉이 :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 시 사용기간 내 따릉이 1시간 이용권 제공 (실물카드는 티머니 홈페이지에 등록된 카드에 한하여 제공)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자, 어린이, 성인 누구나 사용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앱을 통해서 발급 받으실 수 있으며 실물 카드를 구입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아이폰 같은 경우는 어플이 나와있지 않아 실물카드(3000원)를 발급 받아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어플과 실물카드 통해 카드 신청과 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 어플로 통한 발급
- 실물카드 발급
실물카드는 최초 발급 3천원이며, 사용 전에 충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카드안에 충전이 되어있다면 기존 방식대로 이용하면되고 매월 6만 5천원을 충전하여 사용하면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와 차이점
월 60회의 대중교통을 이용하였을때, 교통비 절감액은 기후동행카드는 33,000원 알뜰교통카드는 21,000원 입니다.
-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월 65,000원을 충전해놓는다면, 무제한으로 서울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 정기적으로 교통비 환급을 받습니다.
월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나오는 금액이 65,000원 이상이라면, 알뜰교통카드보다는 기후동행카드를 쓰는것이 교통비 절약에 더 큰 도움이 됩니다.
정리
- 시범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토) ~ 6월 30(일)
- 카드구매 및 충전 : 2024.01.23 (화) 부터 구매 / 충전시 충전일로부터 5일 이내 사용개시일 선택 가능(1.23 충전시 1.27 사용가능)
- 판매처 :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과 역사 인근 편의점
- 환불 : 사용기간 만료전(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잔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환불 가능 (환불액 : 카드충전금 – 대중교통 실 사용액- 수수료 500원)
아이폰은 어플로 불가하므로 실무카드를 이용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