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발목을 접질렀을 때 (발목염좌)의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평상시에 우리가 걷다 보면 발을 헛딛거나 계단을 오를 때 혹은 튀어나온 물체에 걸려 발목을 삐끗해 고통을 겪어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발목을 삐었을 때 통증과 함께 부종과 멍이 들게 됩니다.
발목삐었을 때, 그 즉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더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가벼운 부상이라면 몇 일 안에 회복될 수 있지만, 부주의한 치료로 인해 회복기간이 오래걸리거나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발목삐었을 때 빠르게 치료하고 회복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발목염좌 란?
발목염좌는 발목 주변의 인대나 근육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는 부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상생활이나 스포츠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과 부종을 동반합니다.
종류
1. 제1도 염좌
- 미세한 인대나 근육의 늘어남
- 일반적으로 가벼운 통증과 부종
2. 제2도 염좌
- 중간 정도의 인대나 근육 파열
- 뚜렷한 통증, 부종 및 불안정한 발목
3. 제3도 염좌
- 완전한 인대나 근육 파열
- 심한 통증, 심한 부종, 발목의 불안정성
- 정도에 따른 수술 필요
발목삐었을 때 대처법
발목삐었을 때, 빠르게 대처를 하여 회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발목삐었을 때 효과적인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ICE 요법’
1. 휴식 (Rest)
접질렀을 때 우선 발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게 앉아서 잠시 휴식을 함으로써 발목의 휴식과 상태를 확인합니다.
처음에 삐끗하면 긴장되어 있는 상태라 고통이나 외관상으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잠시 행동을 멈추고 발목의 상태를 체크해야 합니다.
또한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접지른 발목에 힘이 가하지 않도록 합니다.
2. 얼음 (Ice)
얼음을 부상 부위에 적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온찜질 보다는 냉찜질을 하루에 2~3회 15~20분 동안 해주시고 2~3일 동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압박 및 고정 (Compression)
탄력 있는 밴드나 붕대로 발목을 압박하고 고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부종이 줄어들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높이 들어올리기 (Elecation)
발목을 심장보다 높게 들어 올려 부종을 줄입니다.
5. 의약품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이 들어간 의약품을 사용합니다. (뿌리는 파스, 붙이는 파스 등등)
의사의 처방에 따라 통증 완화 및 염좌 관리를 위한 약물을 복용합니다.
이러한 응급처치에도 증세가 완화되지 않으면 병원을 가보셔야 합니다.
가벼운 발목염좌는 약물치료, 물리 치료 등으로 증세가 호전되지만, 인대가 심하게 손상된 부분 파열이나 완전 파열 등 증세가 심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발목염좌 기준법
먼저 발목을 다쳤을 때 발목의 통증, 부종, 멍 등을 확인해보고 걸을 수 있는지, 걷기 어려운지를 기준으로 봅니다.
체중을 실었을 때 통증이 심하거나 힘이 들어가지 않을 경우 골절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때는 꼭 병원에 방문하여 X-ray 검사와 의사의 진단으로 적절한 조치를 하셔야 합니다.
발목염좌 예방법
한번 늘어난 인대는 다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발목 불안정증이 생길 수 있어 자주 삐끗 하게 됩니다.
이렇기 때문에 항상 각별한 주의가 필요로 하며 적절한 예방 조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강화 운동
발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세요.
강력한 발목 근육은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적절한 신발 착용
발에 맞는 사이즈의 신발과 운동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운동화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 운동
스포츠나 활동 전에 적절한 스트레칭과 워밍업을 한 후 운동을 실시하세요.
또한 활동성이 강한 움직임이 필요할 때는 스포츠 테이프로 발목에 테이핑을 해주면 부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휴유증
보통 제대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을 경우 발목 불안정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 제대로 휴식을 하지 않고 발목을 계속 사용 했을 경우
- 부상 당한 곳을 반복적으로 다침으로서 인대 손상이 누적된 경우
- 인대는 회복이 되었지만 발목의 고유 수용성 감각이 저하되어 불안정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이 경우 일상생활이나 활동적인 움직임이 보여질 때 반복적으로 발을 접지르게 됩니다.
결론
발목 삐었을 때, 빠르게 대처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얼음 치료, 휴식, 그리고 의사의 조언을 따르면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항상 의사와 상의하고, 심각한 부상일 경우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발목염좌는 적절한 조치와 조치 후에도 재활 운동을 통해 예방을 하여야 불안정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발목 삐었을 때 얼마나 빨리 의사를 찾아야 하나요?
A1: 발목 삐었을 때 통증이 심하거나 부종이 심해지면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가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Q2: 발목 부상 후에 운동을 언제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A2: 발목 부상 후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운동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Q3: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신발을 골라야 하나요?
A3: 발 사이즈에 맞고 발목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얼음 치료를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4: 얼음 치료는 부상 후 2-3시간에 한번씩 15-20분 동안 적용해야 합니다.
Q5: 언제까지 발목 부상이 완전히 회복되나요?
A5: 발목 부상의 심각성에 따라 회복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전문가의 지도 하에 회복 운동을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