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버팀목 대출 1탄! (+조건, 한도, 중기청)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 버팀목 대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혼자 서울로 올라와 거주한지 약 8년이 다되어갑니다.

새로운 곳에서 생활하고 경험하는 것을 좋아하여 매년마다 이사를 하는 사람 중 1인 입니다!

항상 1년 단위로 계약하며 서울 내 다른 구, 동을 이동하며 이사를 다녔습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곳에서 생활을 하면서 동네마다의 느낌과 분위기를 느껴보고 어떤 곳이 나에게 맞는지 살기가 좋은지, 집은 어떤 구조가 좋은지, 옥탑, 반지하 등을 살아보며 낭만과 경험을 쌓아가며 서울살이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경험을 많이 하게되다보니 1년마다 이사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고 조건에 맞는 집을 구하는것 자체도 매우 힘들고 피로함을 느끼고 있다보니 이제는 조건에 맞는 집에서 어느정도 정착을 하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점점 임대료가 올라가는 것을 느끼고 전세로 살아보고 싶기도 하여 알아보던 중 버팀목 대출이 좋은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어 버팀목 대출을 이용하려고 했습니다. (중기청이 사라짐)

 

 

 

청년 버팀목 대출이란?

주택도시기금에서 전세금이 부족한 무주택자 청년에게 낮은 금리로 최대 2억원까지 대출을 해주는 상품입니다.

  • 정부가 지원하는 저리의 전세자금대출
  • 중도상환수수료없이 자유롭게 상환가능
  • 주거용 오피스텔도 신청가능

 

버팀목의 경우 청년뿐만 아니라 신혼부부, 일반 버팀목전세대출 등의 있습니다!

청년 버팀목 대출

 

 

 

조건

  • 부부합산 자산기준 3.37억원 이하
    *자산기준 = (부동산 + 자동차 + 금융자산 + 일반자산) – (금융부채 + 일반부채)
  • 대출신청일 현재 세대주로서 대출대상주택에 3억원이하의 전(월)세 계약을 체결하고 전(월)세 보증금의 5%이상을 지불한 근로자 및 서민으로 다음 아래 요건을 모두 구비한 사람
    ① 대출신청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이하 무주택 세대주 (1개월 내 세대주 예정자 포함)
    ② 최근년도 또는 최근 1년간 총소득이 5천만원이하인 사람
    – 다자녀가구, 2자녀가구,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재개발 구역 내 세입자 : 6천만원 이하
    – 신혼가구 : 7.5천만원
  • 임차 전용면적 85㎡이하 및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단,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 60㎡ 이하)

 

 

금리

연소득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게 됩니다.

연소득 (부부 합산) 보증금 3억원 이하
2천만원 이하 연 2.0%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 이하 연 2.3%
4천만원 초과 ~ 6천만원 이하 연 2.7%
6천만원 초과 ~ 7.5천만원 이하 연 3.1%

 

  • 금리우대(중복 적용 불가)
    • ① 연소득 4천만원 이하 기초생활수급권자·차상위계층 연 1.0%p
    • ② 연소득 5천만원 이하 한부모가구 연 1.0%p
    • ③ 장애인·노인부양·다문화·고령자가구 연 0.2%p

     

  • 추가우대금리(①,②,③,④,⑤,⑥ 중복 적용 가능)
    • ①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납부자 연 0.2%p
    • ②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2025.12.31. 신규 접수분까지) 연 0.1%p
    • ③ 다자녀가구 연 0.7%p, 2자녀가구 연 0.5%p, 1자녀가구 연 0.3%p
    • ④ 청년가구(만25세 미만, 전용면적 60㎡이하, 보증금 3억원이하, 대출금 1.5억원이하 단독세대주) 연 0.3%p
    • ⑤ 중소기업취업(창업)청년 연 0.3% (2024.4.26. 신규접수분부터 적용 가능)
      • 중소기업 취업자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단, 소속기업이 대기업, 사행성 업종, 공기업 등에 해당하거나, 대출신청인이 공무원인 경우 대출제외)
      • 청년창업자 :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전용 창업자금’,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기업 우대프로그램’, 신용보증기금의 ‘유망창업기업 성장지원프로그램’, ‘혁신스타트업 성장지원프로그램’ 지원을 받고 있는 자
    • ⑥ 대출신청 금액이 대출심사를 통해 산정한 금액의 30% 이하인 경우 연 0.2%p (2024.7.31. 신규접수분부터 적용 가능)
        – 대출심사를 통해 산정한 대출금액 : 호당대출한도, 소요자금에 대한 대출비율로 산정한 금액, 기존 전세자금대출 잔액(대환에 한함) 중 작은 금액

 

 

한도

  • 최대 2억원 (단,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 1억 5천만원 이하)

 

청년 버팀목 대출

 

 

 

기간

  • 기본 : 2년(4회 연장 최장10년 )
  • 전세금안심대출보증 : 최대 2년 1개월 이내에서 임차종료일 +1개월 초과 불가(4회 연장 최장 10년 5개월)

 

 

 

 

신청 방법

청년 버팀목 대출 받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이사할 동네에 은행에 전화나 방문해서 버팀목을 해주는지 전화해보기! (원래는 다 해주는게 맞지만.. 지점마다 안해줄 수 있습니다..) 은행 지점 발품은 필수!!

2. 대출 가능 은행을 확인을 받았다.
2-1. 기금 e든든 신청을 해서 사전심사적격을 받는다.
2-2. 저격심사받고 대출 가능한 은행에 방문을 신청한다.

3. 모든 필요 서류를 가지고 은행을 방문한다.

4. 은행 대출 심사를 받고 기다린다.

5. 대출 실행!

청년 버팀목 대출

 

 

청년 버팀목 대출 총정리

청년 버팀목 대출은 재산이 많거나 소득이 많으면 안되지만 무직자는 가능하다!

대출 최대 한도는 보증금 80%, 최대 2억원 이다.

소득은 최대 연소득 5천만원, 신혼부부는 최대 7.5천만원 이다.

대출 가능 은행을 발품팔아서 알아놔야한다.

서류는 미리 준비해 놓아야한다.

기금E든든의 적격심사도 필수이다!

기간은 넉넉히 1달~2달 정도로 잡아야 한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로 청년 버팀목 대출 후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Leave a Comment